그렇다면 방어기제 종류 중 하나인 합리화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.
“여우와 신포도” 라는 이솝우화 이야기를 떠올려 보면,
여우가 길을 가다가 높은 가지에 매달린 포도를 보고 그 포도를 먹고 싶다는 욕심에
몇 번이나 힘껏 높이 뛰지만
포도에 발이 닫지 않아 실패합니다.
결국 여우는 포도 따먹기를 실패하고 돌아가는데
이 때 여우는 “저 포도는 너무 시어서 맛이 없을거야” 라는 말을 합니다.
여우는 이때 방어기제 종류 중에서 ‘합리화’를 사용 한것입니다.
포도를 따먹을 수 없게 되자 실패감 이라는 감정적 상처를 입고
그 상처를 최소화하려는 이유로
포도를 따먹기 어렵다는 현실을 인정하는 대신에
신포도라서 먹을 가치가 없다는 핑계로 스스로를 속입니다,